
정치 경험이 없는 대통령, 나라 운영에 문제가 될까?
윤석열 대통령을 보며 이런 의문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그는 검찰총장을 지낸 법조인 출신으로 정치 경험 없이 곧바로 대통령이 되었다. 그리고 그의 행보에 대해 논란이 많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에서도 정치 경험이 없는 대통령이 있었을까? 그리고 그들은 어떤 결과를 만들어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정치 경험이 전무했던 대표적인 대통령인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를 살펴보자.
그는 코미디언 출신으로 정치 경험이 전혀 없었지만, 2019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실제로 그가 국정 운영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들이 나타났는지, 그리고 정치 경험이 없는 지도자가 반드시 실패하는 것인지 함께 보자.
젤렌스키는 누구인가? 정치 경험 전무한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원래 배우이자 코미디언이었다. 2015년 방영된 TV 드라마 《국민의 일꾼(Servant of the People)》에서 부패한 정치에 저항하는 평범한 역사 교사가 대통령이 되는 역할을 맡았고, 이 드라마가 큰 인기를 끌면서 실제로 정치에 도전하게 되었다.
2018년, 그는 드라마 제목과 같은 이름의 정당 "국민의 일꾼(Servant of the People)"을 창당하고 2019년 대선에 출마했다. 기존 정치권의 부패를 강하게 비판하며 새로운 정치를 약속한 그는 무려 73.23%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그가 정치 경험이 전혀 없다는 점이었다. 이는 국정 운영 과정에서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불러왔다.
젤렌스키가 겪었던 문제들
1. 행정 경험 부족으로 인한 시행착오
젤렌스키는 처음 대통령이 되었을 때 정부를 운영하는 경험이 부족했다. 정책 방향이 불분명했고, 의회와의 협력도 원활하지 않았다. 또한 정부 인사를 여러 번 교체하는 등 행정의 불안정성이 컸다.
2. 반부패 개혁의 어려움
젤렌스키는 부패를 척결하겠다고 공약했지만, 실제로는 기존 정치권의 강한 저항을 이겨내지 못했다. 특히 사법 개혁이 지연되면서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3. 외교적 미숙함
그는 대통령 취임 초반, 러시아와의 관계를 조율하려 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또한 2019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스캔들'(트럼프가 바이든 수사를 압박한 사건)에 휘말리며 외교적 논란을 일으켰다.
4. 군사 경험 부족
2022년 러시아의 침공이 시작되었을 때, 그는 군사 전략 경험이 전혀 없었다. 처음에는 우크라이나군의 전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지만, 점차 전문가들과 협력하며 효과적인 대응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초기 혼란은 분명 존재했다.
젤렌스키의 지지율 변화
그렇다고 해서 젤렌스키가 완전히 실패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전쟁 상황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며 국민적 지지를 받았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국제 사회의 지원을 끌어내는 데 성공했고, 전쟁 초반 "나는 도망치지 않는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며 국민들의 사기를 높였다.
젤렌스키의 지지율은 대통령 당선 초기 70% 이상을 유지했지만, 임기 초반 행정 경험 부족과 개혁 성과 미흡으로 인해 다소 하락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국민적 단합이 이루어지면서 지지율은 90%까지 급등했다. 당시 그는 전쟁 중에도 수도 키이우를 떠나지 않고 국민들과 함께 싸우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강한 리더십을 보였다.
하지만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경제적 어려움과 피로감이 커지며 지지율이 점차 하락했다. 2024년 초 기준으로 그의 지지율은 약 52%까지 떨어진 상태이며, 이는 전쟁의 장기화로 인해 국민들이 점점 더 현실적인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치 경험 없는 대통령이 꼭 실패할까?
젤렌스키의 사례를 보면, 정치 경험이 없는 대통령이 반드시 실패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행정 경험과 정책 운영 능력이 부족하면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물론 시행착오에도 정도가 있긴 할것이다.
정치 경험이 없더라도 빠르게 배워나가고, 전문가들과 협력하며, 국민과 소통을 잘하는 지도자는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
판단은 결국 각자의 몫일 것이다.